본문 바로가기

IT 트렌드

[블록체인] NFT(Non-Fungible Token)와 예술의 조합 그리고 등장한 플랫폼.

반응형

이 전글에서는 NFT(Non-Fungible Token) 개념과 가치 등에 대해서 이야기했다.

 

[블록체인] NFT(Non-Fungible Token, 대체불가능한 토큰)의 개념, 원리

[블록체인] NFT(Non-Fungible Token), 대체불가능한 토큰은 어떻게 그 가치를 가질까?

 

이번에는 필자가 직접 본 NFT의 실제 사례에 대해서 이야기하려고 한다.

IT기술이 접목된 전시회(FLYDOPO)

필자는 아는 지인과 함께 올해 초, 중순 디자이너 FLYDOPO(패션 디자이너 김주연)님이 한국전력아트센터에서 개최된 전시회를 보러 간 적이 있다.

 

 

'FLYDOPO : 지속가능한 패션과 미래' 전시회 개최

[JTN뉴스 박선후 기자] 그동안 업싸이클 패션 아티스트로 활동해 왔던 디자이너 ..

www.jtn.co.kr



여기서 필자는 처음으로 NFT가 실제 사용되는 광경을 목격했다. 아래 5개의 작품이 실제로 NFT에 민팅(minting)했다.

 

 실제 민팅된 5개 작품

 

아래는 디자이너님이 NFT 개념을 모를 관람자를 위해 직접 부착해둔 NFT 설명 게시물이다.

 

실제 전시회에 부착된 NFT 게시물

 

 

FLYDOPO님께 실제 작품에 대한 설명 및 가치관 등을 들으면서 관람했는데 이 때 정말 크게 감동한 부분은 바로 지속가능한패션과 IT기술과 패션, 디자인의 조합이었다. 그 중 NFT에 대한 이야기는 아래와 같다.

 

현재 많은 아티스트들이 여전히 자신의 저작권, 소유권에 대해 보호받지 못하고 있다.
보호받지 못하는 것도 있지만 여전히 저작권, 소유권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도 여전히 부족하다.
현재 해외에서는 NFT 플랫폼들이 계속 등장하고 있으며 실제 OpenSea에 작품을 등록했다.

 

OpenSea에 등록된 FLYDOPO님의 작품

아티스트를 위한 NFT 플랫폼

OpenSea에는 많은 아티스트들이 자신의 컬렉션을 개설하고 내부에 작품을 올려두었다. 그리고 실제 경매를 통해 판매하고 있다.

 

OpenSea

결론

NFT는 아티스트들에게 새로운 장을 열어주었다고 볼 수 있다. 사실 무명의 아티스트들, 그리고 자신의 작품을 외부에 제대로 알리기 어려웠던 환경들이 NFT를 통해 해결되었다고 생각한다. 이제 누구나 쉽게 자신의 작품을 표출시킬 수 있다. 거기에 저작권, 소유권 문제도 생각할 필요도 없어진다.

 

NFT의 등장으로 예술계에 새로운 바람이 불고있을 거라 확신하며 엄청난 발전을 가져다 줄 기반이 될 것이라 본다.

 

사실 여기서는 NFT에 집중해서 이야기하지만 이 분은 AR, VR 등의 개념을 디자인과 조합하신 분이기도 하다. 이 이야기는 나중에 기회가 되면 더 풀어볼까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