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트렌드

(65)
DT(Digital Transformation) 3부. - 디지털전환, 제대로 좀 하고 싶다! 1부에서 디지털 전환(이하 'DT')은 고객을 끌어들이기 위해서 한다고 했다. 즉, 주목표가 고객이며 사용자 맞춤 서비스를 하는 것이다. DT(Digital Transformation) 2부. - 디지털 전환 그거 왜 하는건데? 1부에서 DT(Digital Transformation), 일명 디지털 전환(이하 'DT')이라는 것에 대해 느낌만 살짝 다루어 보았다. DT(Digital Transformation) 1부. - 디지털 전환 그게 뭔데? 언제부터인가 DT, 디지털 전환, 디지.. www.kboutiq.com 이 기술 도입하자, 이런 것을 고객에게 제공하자 등 수없이 많은 기업이 DT를 하면서 고객에게 변화를 주고 있다. 그런데 이렇게 막 IT기술만 쓰면 DT가 될까? 그러면 이 DT를 제대로 하..
DT(Digital Transformation) 2부. - 디지털 전환 그거 왜 하는건데? 1부에서 DT(Digital Transformation), 일명 디지털 전환(이하 'DT')이라는 것에 대해 느낌만 살짝 다루어 보았다. DT(Digital Transformation) 1부. - 디지털 전환 그게 뭔데? 언제부터인가 DT, 디지털 전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이라는 말을 자주 듣게 되었다. 약 2018년 때부터 대기업에서 DT... DT... 라는 말을 강조하고 있다고 느낀 것 같다. 아무튼 도대체 많은 기업 www.kboutiq.com 그런데 왜 도대체 기업들이 이 DT에 도전하는 것일까? 이 DT는 정확하게 그냥 우리가 생각하는 '온라인화'와 무엇이 다른 것일까? 그리고 이 DT를 하는 목적, 이루려는 목표는 무엇일까? 다양한 궁금증을 하나씩 같이 풀어보자. 온라인화 VS DT 온라..
DT(Digital Transformation) 1부. - 디지털 전환 그게 뭔데? 언제부터인가 DT, 디지털 전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이라는 말을 자주 듣게 되었다. 약 2018년 때부터 대기업에서 DT... DT... 라는 말을 강조하고 있다고 느낀 것 같다. 아무튼 도대체 많은 기업들이 강조하는 DT, 디지털 전환이라는 것은 무엇일까? 디지털 전환이란? 단순하게 뜻을 해석하면 아날로그의 것을 디지털로 전환한다는 것이다. 더 쉬운 이해를 위해 배달의 민족으로 단순한 예를 들어보자. 여러분은 배달의 민족 초기의 모습이 기억에 안 날 수도 있지만 예시를 보면서 기억을 더듬어 보자. 초창기 배달의 민족에 주문을 넣으면 중간에 알바생들이 그 주문을 대신 넣어주는 형식이었다. 즉, 이용자는 겉으로 클릭만 몇 번하면 끝났지만 그 주문이 완벽히 전달되는 과정에는 아르바이트생들의 수작업이 있었..
인공지능 활용 - 인공지능(AI), 머신(ML), 딥러닝(DL) 파헤치기 - 9부 지금까지 인공지능, 머신러닝, 딥러닝 등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았고 이제는 그 마지막인 활용에 대해서 생각해보자.(특히 딥러닝과 관련해서...) 여러분은 어디에서 처음으로 딥러닝을 접했는지 기억나는가? 필자는 한창 개발자로 활동할 당시 딥페이크(deepfake)에 관한 글과 깃헙(github)에 올라온 소스를 보고는 처음 딥러닝이라는 개념을 인지했다. 사실 Siri, 번역기와 같은 앱을 사용했지만 이게 딥러닝과 관계가 있다고 까지는 생각하지 못했다. 어쨌든 우리 바로 옆에 이미 딥러닝을 사용한 기술들이 넘치고 있었다. 스노우(Snow)와 같은 앱도 이미 딥러닝을 사용해서 얼굴을 인식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 스노우 어플을 보고 기본 카메라 앱의 얼굴 인식이 같은 원리라고 생각하면서 '정말 예전부터 있었구..
블랙박스(Blackbox) - 인공지능(AI), 머신(ML), 딥러닝(DL) 파헤치기 - 8부 지금까지 총 3개의 글을 통해 인공지능을 시작으로 간단히 머신러닝, 딥러닝의 개념을 배웠고 그 이후의 4개의 글에서는 딥러닝을 조금 더 자세히 다루었다. 오늘은 그 마지막 편. 블랙박스에 대한 내용이다. 처음에 블랙박스(Black box)라는 단어를 딥러닝에서 들었을 때 필자의 머리에서는 '뭐지?'라며 자동차 블랙박스와 딥러닝을 연관 지으려고 했다. 하지만 이 블랙박스는 그런 뜻이 아니었다. 위키에서는 아래와 같이 설명되어 있다. 과학, 기술, 공학 등의 분야에서 블랙박스는 내부 작업의 어떤 이해없이 입력과 결과의 측면으로 볼 수 있는 시스템을 뜻한다. 그대로 해석해서 이해가 어렵지만 아래 그림과 같이 입, 출력만 나올 뿐 그 내부 작업은 명확하지 않은 것을 뜻한다. 그러면 딥러닝에서 블랙박스라는 단어가..
역전파(Backpropagation) - 인공지능(AI), 머신(ML), 딥러닝(DL) 파헤치기 - 7부 이전에 활성화 함수(Activation Function)에 대해 다루었던 것 처럼 역치(임계)값을 넘기 위해서는 가중치과 편향의 값을 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활성화 함수가 기억이 안난다면 아래 링크를 보고 오자!) 활성화 함수(Activation Function) - 인공지능(AI), 머신(ML), 딥러닝(DL) 파헤치기 - 6부 활성화 함수(Activation function)에 대해 알기 전에 왜 활성화 함수라는 것이 필요할까? 를 고민해 보자. 그 이유는 간단하다. 뉴런의 신호 전달 방식을 그대로 가져왔기 때문이다. 딥러닝과 인공신경 www.kboutiq.com 하지만 이런 가중치와 편향의 값을 임의대로 조절하는 것도 어려울 뿐더러 제대로 조절하지 않으면 결과에 엄청난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래..
활성화 함수(Activation Function) - 인공지능(AI), 머신(ML), 딥러닝(DL) 파헤치기 - 6부 활성화 함수(Activation function)에 대해 알기 전에 왜 활성화 함수라는 것이 필요할까? 를 고민해 보자. 그 이유는 간단하다. 뉴런의 신호 전달 방식을 그대로 가져왔기 때문이다. 딥러닝과 인공신경망을 설명한 4부에서도 설명을 했지만 다시 한번 아래에 설명하도록 하겠다. 인공지능(AI) 파헤치기 - 딥러닝과 인공신경망. 4부 앞선 글 3부에서 딥러닝(DL, Deep Learning)에 대해서 정말 간단하게 알아보았고 이제는 딥러닝과 인공신경망의 관계에 대해서 조금 들여다 보자. 일단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이 어디서부터 www.kboutiq.com 뉴런들은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때, 반드시 역치, 임계(threshold)값을 초과해야지만 신호를 ..
퍼셉트론(Perceptron) - 인공지능(AI), 머신(ML), 딥러닝(DL) 파헤치기 - 5부 인공지능을 출발해서 머신러닝, 딥러닝의 개념을 아주 조금 살펴봤고 바로 전 글에서는 인공신경망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이렇게 숲을 보았으니 이제는 차근차근 나무를 들여다볼 차례인 것 같다. 그 처음이 바로 퍼셉트론(Perceptron)이다. 인공지능(AI) 파헤치기 - 딥러닝과 인공신경망. 4부 앞선 글 3부에서 딥러닝(DL, Deep Learning)에 대해서 정말 간단하게 알아보았고 이제는 딥러닝과 인공신경망의 관계에 대해서 조금 들여다 보자. ML -> DL의 순서대로 각자의 한계를 뛰어넘기위해 등 www.kboutiq.com 전 글에서 잠깐 언급했지만 퍼셉트론은 지도학습(supervised learning)의 이진 분류(binary classifier)에 사용되는 알고리즘이다. 여기서 지도학습이란 ..

반응형